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이미지로 빌드하기 위해 도커파일을 작성해보자.

도커 파일 작성

image.png

헷갈리면 이전의 파일을 보자.

WORKDIR은 해당 디렉토리를 이용하겠다는거

image.png

COPY는

image.png

bootJar 옵션은 gradlew 를 이용해 jar파일로 빌드하겠다는 의미임.

아래에 다시 FROM해서 시작하는 부분은 이제 위에서 만든 jar이미지를 다시 활용하는 부분이다. 위에서 만들어진 이미지를 다시 해당 경로에 app.jar라는 이름으로 COPY한다.

ENV 는 환경변수를 이용하는데, 이건 스프링부트의 프로젝트 내에 포함되어있어야 한다.

image.png

다음 스프링 프로젝트 내에 추가해주자. dev라는 이름의 profile새로 만든 것임.

근데 이렇게 생각해보니까. 아까 도커 이미지도 이거에 맞춰주면 동작하는거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