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ervletResponse - 기본 사용법
Response는 응답 메세지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객체이다.
응답 코드를 지정할 수 있고, 헤더, 바디를 생성 가능함.
또한 Content-Type, 쿠키, Redirect기능 등 편의제공도 있음.
자 코드로 같이 알아보자….
먼저 응답 코드 세팅이다.
@WebServlet(name = "ResponseHeaderServlet", urlPatterns = "/response-header")
public class ResponseHeaderServlet extends HttpServlet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응답 코드 세팅 - 상수 직접 이용 권장
response.setStatus(HttpServletResponse.SC_OK);
}
}
응답코드는 직접 int값 적어주지 말고, 미리 설정된 상수값을 이용하자.
응답 메세지의 구조를 기억하는가..? 응답 메세지의 시작라인에는 status-line이 들어간다. (요청은 request-line)
//[response-headers]
response.setHeader("Content-Type", "text/plain;charset=utf-8");
response.setHeader("Cache-Control", "no-cache, no-store, must-revalidate");
//캐시 무효화
response.setHeader("Pragma", "no-cache");
캐시 무효화도 저번시간에 배운 내용이다.
원하는 임의의 헤더를 직접 추가할 수도 있다.
//임의의 헤더도 만들 수 있음
response.setHeader("my-header", "hel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