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 말한대로 하니.. 웰컴페이지가 만들어졌다.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세계관을 감싸서 만들어만들어졌다. 스프링자체가 자바 웹전반에 걸친 대부분의 모든것들을 다 갖고 있어서 이걸 다 이해하는건 힘들다. 찾아서 이해하는 능려긍ㄹ 기르는게 중요하다.
스프링홈페이지에서 정보를 찾는 습관을 갖자.
여기가면 스프링부트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Reference Doc을 참고하자. 이 메뉴얼에서 검색해서 찾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방금 우리가 만든건 정적페이지(static page)이다. 우리가 만든 html을 그냥 웹서버가 그대로 렌더링해줬을 뿐임. 그런데 여기서 템플릿 엔진이란걸 쓰면… 뭔가를 바꿀 수 있다고 함.
우리는 타임리프라는 템플릿 엔진을 사용할 것임.
아무튼… 이제 동작하는 웹서버를 만들어보자. 웹페이지에 접속할때 제일먼저 마주치는 친구를 컨트롤러(Controller)라고 한다. 컨트롤러를 만들어보자.
package hello.hellospring.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Model model) {
}
}
걍 일단 따라치래서 따라쳐봄. GetMapping()은 웹어플리케이션에서 /hello라고 입력이 들어오면 저 애노테이션 밑의 메서드를 실행한다고 한다.
model은… MVC(Model View Controller)의 모델이라고 함. 나중에 더 배울 것 같다.
package hello.hellospring.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hello!!");
return "hell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