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14-1~4 람다식이란? 람다식 작성하기

[자바의 정석 - 기초편] ch14-1~4 람다식이란? 람다식 작성하기

람다식(Lamdba Expression)

람다가 무엇인지 배우기 전에 함수형 언어(FP)가 무엇인지 배워보자. 자바는 OOP언어이지만 JDK1.8부터 함수형 언어의 기능을 일부 포함했다.

유명한 함수형언어로는 Haskell, Scala, Evlang등이 쓰인다… 예전엔 자주 쓰이지 않았는데 빅데이터가 뜨면서 엄청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각광받고 있다.

람다식은 함수(메서드)를 간단한 식(expression)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Untitled

람다식은 모두 익명 함수(이름이 없는 함수, anonymous funcion)이다. 메서드를 람다식으로 바꿀때, 1. 반환타입과 이름을 없앤다. 그리고 인자와 바디 사이에 를 넣어준다.

참고로 함수와 메서드의 차이는, OOP적 관점에서 클래스에 종속적인 함수를 메서드라고 부르는 것이다. 자바에서 람다식도 여전히 메서드의 일종이다. 자바에는 메서드밖에 없다.

이번에는 람다식을 작성하는 법을 알아보자.

위에서 말했듯이..

  1. 메서드의 이름과 반환타입을 제거한다.
  2. {}앞에 추가한다.

람다식은 메서드를 간단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래서 좀 더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규칙들이 있다. 이 규칙들을 전부 외워야 하는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