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7-15,16 import문, static import문
[자바의 정석 - 기초편] ch7-15, 16 import문, static import문
이번시간에는 import문에대해 배울것
이친구는 클래스 사용할때 패키지 이름을 생략할 수 있게 만드는 친구다.
원래 원칙은… 클래스를 사용할때 클래스 이름 앞에 패키지 이름을 적는게 원칙이다.
하지만 import문을 사용하면… 패키지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해당 패키지 내의 클래스들을 패키지 이름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import의 역할은 컴파일러에게 클래스가 속한 패키지를 명시해주는 것임. 컴파일러가 해당 클래스를 만났을때 import문을 보고 해당 클래스의 위치를 바로 알게 된다. 그리고 컴파일 타임에 모든 클래스에 각각의 패키지명을 알아서 붙여준다.
이클립스에서는 ctrl + shift + o(알파벳)이 단축키이다. 클래스를 쓸때, 앞의 단축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임포트 문이 만들어진다. 개쩐다.. 근데 자동으로 만들어질 정도면 어차피 아는건데 알아서 다 하면 안되나?
만약 다른 패키지에 같은 클래스명이 있으면 선택하는 이름이 나온다.
근데 우리가 지금까지 사용한 string같은경우… 왜 패키지명 붙이라는 말을 안했을까?
그건 바로 string이 java.lang패키지에 소속되어있고, 해당 패키지는 핵심 클래스가 모인 곳이라 임포트 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게 했기 때문…(컴파일러시 자동으로 포함된다) 이 패키지에는 String, Object, System, Thread등이 들어있다…
컴파일러는 컴파일하다가 마주친 어떤 클래스의 위치를 모를때, java.lang부터 찾아본다.
임포트문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