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4연결리스트의 개념적 이해(2)

04-1. 연결 리스트의 개념적인 이해 ②

연결리스트에서 집중해야 하는건

  1. 동적할당
  2. 동적할당된 공간들을 ‘순차적’활용 위한 공간끼리의 연결

앞에서 본 예제는 공간을 tail에만 연결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head에 연결할 필요도 있음.

어떻게 연결하는가. 첫번째로 질문해야 할 내용이다. 앞선 예제에서 우리는 구조체의 정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동적할당 받을 공간을 ‘노드’라고 부르겠다.

노드는 1. 데이터를 담을 수 있어야 하고, 2. 다른 노드와 연결이 가능해야 한다.

Untitled

C에서는 위와같은 템플릿의 문법이 가능하다.(구조체 템플릿 A의 멤버로 A의 포인터 가능)

앞의 코드에서 강의에서 분석해보자.

저자는 연결리스트의 3요소로

HEAD, TAIL, CURENT를 뽑는다.

여기서 CUR는 참조 및 조회를 위한 것으로, 마지막 참조 위치를 말함.

적어도 위의 세개가 있어야 연결리스트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