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3추상자료형(1)
03-1. 추상 자료형 : Abstract Data Type ①
ADT(Abstract Data Type)과 자료구조의 관계
코딩이 ‘공학’으로 인식되면서 ADT라는 관점이 등장했다. 좋은 코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 개념이 필요하다. 소프트웨어공학내에서 등장하는 관점.
OOP를 공부했다면 ADT라는 자료형이 익숙하겠지만, 이 책은 C를 기준으로 하므로 ADT를 원점부터 설명하겠다.
ADT는 구체적인 기능의 완성과정을 언급하지 않고, 순수한 기능이 무엇인지만을 나열한 것임.
자료형 = 기능이다. 이렇게 이해해보자.
int
라는 자료형을 생각해보자, 우리는 보통 데이터를 생각한다.
int data type의 기능을 말할 수 있지만, 데이터측면에서 설명하라면 어렵다… 자료형들은 기능, 즉 연산에 중점을 두고 이해해야 한다.
eg) int num = 1;
(대입연산)
num1 + num2
(합 연산) …etc
그럼 구조체는 무엇인가? 구조체의 기능은?
CH3추상자료형(3)
03-1. 추상 자료형 : Abstract Data Type ②
프로그래밍이란? 질문으로 시작해보자.
프로그래밍은 함수들을 정의하고 호출관계를 정해주는게 전부인가?
프로그래밍은 먼저 자료형(data type)을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함수를 정의해주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