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와 헤더파일 이어서..
내가 자주 쓰는 하위 폴더가 예를 들어 my_headers라면 이를 프로젝트 속성에서 아예 정해줄 수 있다. 그러면 위에서 상대경로 입력할때 “my_headers/…”에서 my_headers생략 가능.
프로젝트 속성에서 형광펜 친 부분에 경로를 지정해주면 된다.
이렇게 추가경로를 설정하면, “”를 <>로 바꿔줄 수 있다.
컴파일러가 위치를 알기 때문에.. 하지만 관습적으로 <>을 표준, 또는 사용하기만 하는 외부라이브러리의 경우에 사용함. “”를 내가 커스텀한 헤더파일에 사용함.
#include 키워드는 해당 헤더파일등을 그냥 복사 및 붙여넣기하는 수준이다.
예를 들어서
라는 h파일을 하나 만들고
int main()
{
**#include "prnt_hello.h"**
return 0;
}
를 실행시키는건
int main()
{
**printf("Hello, world for a header\\n");**
return 0;
}
를 실행시키는 것과 같을 정도로 전처리기가 일한다고 함. 실제로는 실행이 안되네요…
그리고 저렇게 코딩하는건 절대 안된다… 함수 안에 include가 들어갈 일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