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와 헤더파일
#include를 사용할때 두가지의 방식이 있음.
이때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가 있는 폴더의 하위폴더에 사용하고자 하는 파일이 있는 경우, 경로를 보다 자세하게 지정해줄 수 있다.(상대경로)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 <stdio.h>
#include "my_headers/my_macros.h"
이렇게.
재미있는건 include “”
만 쳐도 하위폴더를 알아서 찾아준다는 것임.
이게 파일탐색기에서 본 하위폴더들이다.
절대경로로도 지정할 수 있다.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 <stdio.h>
#include "my_headers/my_macros.h" //path
#include "C:\\Users\\rhkdd\\source\\repos\\Lecture16\\my_headers/my_macros.h"
요렇게…
근데 이렇게 코딩하는 사람은 없다고 함.. ㅋㅋ 홍정모님도 초보시절 오픈소스를 갖다쓸때 몇번 빼고는 없다고 하심.
내가 자주 쓰는 하위 폴더가 예를 들어 my_headers라면 이를 프로젝트 속성에서 아예 정해줄 수 있다. 그러면 위에서 상대경로 입력할때 “my_headers/…”에서 my_headers생략 가능.
프로젝트 속성에서 형광펜 친 부분에 경로를 지정해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