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를 통해 배워보자.

컴포넌트

리액트 프로젝트는 전에 말했듯이, 여러 컴포넌트로 이루어져있다. 따라서 앱을 설계할때 컴포넌트 단위로 앱이 어떻게 구성될지 설계해야 한다.

Untitled

우선 가장 부모 컴포넌트를 정한다. 위에서는 App Component가 된다.

그 자식으로 ExpenseForm과 ExpenseList를 만든다. ExpenseList내에는 ExpenseItem이라는 여러 자녀 컴포넌트가 들어간다..

자 이제 해보자!

우선 index.js를 제외하고, index.css, App.js, App.css를 깔끔하게 다 지워버리자.

컴포넌트를 만드는 방법에는 전에 말했던 것 처럼 클래스형함수형이 있다. 오늘날에는 함수형만 주로 쓴다고 했지만, 클래스형부터 해보고, 이를 함수형으로 리팩토링하는 과정을 거쳐보자..

클래스형 컴포넌트 만들기

리액트에서 클래스를 이용해 컴포넌트를 만들려면, 우선 Component를 상속받는 클래스로 시작한다.

클래스 컴포넌트가 render()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는건 Component 를 상속받았기 때문이다.

impor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App extends Component {
  
}

여기서부터 시작한다.